반응형 전체 글408 삼악산 등산코스 및 케이블카 이용요금 할인정보 가을 바람이 시원하게 부는 선선한 가을이 왔는데요, 등산과 나들이 하기에 좋은 삼악산 등산과 케이블카 이용정보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삼악산 위치 및 정보삼악산은 강원도 춘천에 있는 산입니다. 춘천시내에서 서울방면으로 약 10km 지점에 있으며, 등선폭포, 비선폭포, 승학폭포, 백련폭포 등 크고 작은 5개의 폭포가 유명한 곳입니다. 산세가 크고 높지는 않지만 용화봉과 청운봉, 등선봉의 3개 봉우리에서 뻗어 내린 능선이 암봉으로 이루어져 절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삼악산에는 흥국사, 상원사 등 7개의 사찰과 삼악산성이 있고, 정상은 해발 654m 높이입니다. 정상에서는 의암호의 아름다운 경관과 춘천 시내를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습니다.삼악산 입장요금 및 주차요금1. 삼악산 입장요금 일반(청소년, .. 2024. 9. 23. 새출발기금(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방안) 신청방법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방안 중 하나인 새출발기금 확대방안이 시행됩니다. 새출발기금 신청을 완료하면 실제 채무조정 약정 체결되기 전이라도 신청한 다음날부터 대상채권에 대한 추심이 중단됩니다. 오늘은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종합대책 새출발기금 확대방안에 대한 내용과 신청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새출발기금이란?새출발기금이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대출을 상환능력 회복 속도에 맞추어 조정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전용 채무조정 프로그램입니다. 새출발기금은 2022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부담 완화를 위해 시작되었습니다.채무조정 한도는 1인당 최대 15억원순부채의 최대 80%까지 조정 가능 새출발기금 지원 가능 조건1. 부실 차주: 90일 이상 장기연체 2. 부실.. 2024. 9. 20. 청년일자리 강소기업 자격조건 및 신청 청년일자리 강소기업(가칭)은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협력하여 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청년일자리 강소기업으로 선정되면 정부로부터 다양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받게 됩니다. 그동안 고용노동부에서 진행한 청년친화 강소기업 제도는 청년들 대상 낮은 인지도와 기업 성장을 위한 지원 부족의 한계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청년일자리 강소기업(가칭)으로 개편하면서, 청년고용과 월급수준, 일/생활 균형, 성장 가능성, 인재에 대한 투자 등을 심사해 중소/중견기업 500여 개를 선정할 예정입니다. 또한, 현재 가칭으로 정해진 청년일자리 강소기업 네이밍 투표도 함께 진행됩니다. 청년일자리 강소기업 혜택 대폭 확대청년일자리 강소기업으로 확대 개편되면서 선정기업에 대한 지원도 대폭 확대될 예정입니다. 다양한 .. 2024. 9. 19. 명절 연휴 문 여는 병원 확인하는 방법 명절 연휴에 아프면 너무 당황스럽죠. 특히, 아이가 아프면 더욱 그런데요 오늘은 명절 연휴에 문을 여는 병원 및 의원을 확인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최근에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증 및 비응급환자의 방문이 지속되면서 응급의료기관의 과부하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응급실 방문 시 병원비도 올라갔는데요, 자신의 증상이 응급실로 가야 하는 상황인지 아닌지 스스로 판단하기 가 쉽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명절 연휴 기간 동안 자신의 증상에 맞는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응급실에 가야 할 위급증상 (곧바로 119에 전화)1. 혈액이 섞인 구토2. 증상을 동반한 고혈압3. 극심한 흉통, 복통, 두통4. 중증 외상 (다발적 골절, 열린 상처 등)5. 중증 외상 (쇼크)6. .. 2024. 9. 14. 2025년 최저시급 및 최저임금은 얼마? 2025년 최저임금 시간급은 올해보다 170원 상향된 10,030원으로 결정 및 고시되었습니다. 오늘은 최저시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2025년도 적용 최저시간급은 10,030원으로 고용노동부에서 고시하였습니다.최저시급은 업종별 구분 없이 전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최저시급을 적용하여 월급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주 소정근로 40시간주당 유급주휴 8시간 포함월 209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월 2,096,270원 2025년 최저시급은 4년 만에 노사단체의 이의제기가 없었다고 하는데요. 최저임금위원회가 11차례의 전체회의를 통해 의결한 최저 임금안을 고시한 후 고용노동부가 7월 말까지 이의제기 기간을 운영했으며, 노사단체의 이의제기는 없었습니다. 최저시급을 적용 받지.. 2024. 9. 13. 재산세 납부기간 및 절세방법 안내 재산세는 매년 2회 7월과 9월에 납부하는 세금입니다.재산세가 20만 원 미만이라면 7월에 전부 납부하며, 20만 원 이상이라면 7월과 9월에 50%씩 나누어 냅니다.즉, 9월은 주택의 나머지 50%분과 토지분 재산세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오늘은 재산세 납부기간 및 부과기준, 절세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재산세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현재 토지와 건물 등을 사실상 보유한 사람에 대하여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재산세는 은행 지방세납부, 은행 ATM기, ARS, 무인공과금 등으로 납부할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는 위택스, 스마트 위택스, 이택스에서 납부 가능하며 최근에는 카카오페이에서도 납부를 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를 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체납액의 3%가 가산세로 부과되기 때문에 반.. 2024. 9. 13.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68 다음 반응형